소식통

대원군 맏며느리 사진,10여 년 동안 권세를 누린 흥선대원군

.ⓒ 2014. 3. 27. 15:50
반응형


대원군의 맏며느리 이씨마마의 

이 장면은 1970년 5월 2일 김홍기 기자가 촬영했다.


영친왕 서거 소식을 전해들은 대원군의 맏며느리(고종황제의 형수) 이씨 마마는 식음을 전폐하고 누워 있다가 손님을 만나기 위해 상궁의 부액을 받으며 머리 손질을 하고 잇다. 1970년 5월 2일. 김홍기 기자 




흥선대원군


조선시대에 왕이 후사(後嗣) 없이 죽어 종친 가운데서 왕위를 계승하게 되는 경우, 새로운 왕의 생부(生父)를 일컫는 말.

전시기에 걸쳐 4명의 대원군이 있었는데 선조의 아버지 덕흥군(德興君)을 대원군으로 추존(追尊)한 것이 처음이었다. 그후 1623년(광해군 15) 인조반정(仁祖反政)으로 왕위에 오른 인조는 아버지 정원군(定遠君)을 대원군에 추존했다가 1632년(인조 10) 다시 원종(元宗)으로 추존했다. 또 1849년(헌종 15) 헌종이 후사 없이 죽자 철종이 왕위에 옹립되었고 그의 아버지 전계군(全溪君:장헌세자의 아들인 은언군의 아들)을 대원군에 추존했다. 1863년(철종 14) 철종이 후사 없이 죽자, 대왕대비 조씨(大王大妃趙氏:익종비, 헌종의 생모)의 명에 따라 흥선군 하응(興宣君昰應)의 둘째아들 명복(命福)이 왕위에 올라 고종이 되었고, 하응은 흥선대원군에 봉해졌다. 4명의 대원군 가운데 3명은 죽은 뒤에 추존되었으나, 흥선대원군만 살아 있을 때 봉해져 '살아 있는 대원군'이라고 불렸다. 고종이 12세의 어린 나이로 왕위에 오르자 겉으로는 조대비가 수렴청정(垂簾聽政)하는 것으로 되어 있었으나 실질적으로는 흥선대원군이 섭정(攝政)하여 국사의 모든 결정권을 가졌다. 그는 개항 전후 격변하는 국내외의 상황에 대처하면서, 10여 년 동안 권세를 누렸다.→ 흥선대원군

반응형